고용보험료 계산 어떻게 하나요?

Posted by 에디슨's
2016. 5. 31. 15:28 재테크정보

고용보험료는 실업보험사업과 고용안정사업, 직업 능력 사업 등의 노동시장 정책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사회보장보험인데요.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 및 사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한답니다. 


 

근로자분들은 월 급여에서 건강보험료 계산, 국민연금계산, 고용보험료가 계산되어 나가기 때문에 신경을 잘 안 쓸 수도 있지만, 고용보험료 계산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위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고용보험은 실업보험과 고용안정사업, 직업능력개발 사업들의 노동시장 정책을 연계 통합한 사회보장보험이랍니다.

 

 

 

고용보험요율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똑같이 신고소득월액의 0.65%로 동일하며 사업주는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비용으로 150인 미만 기업인 경우에는 신고소득월액의 0.25%를 합산해서 보험료를 납입하게 되어 있어요.

 

 

고용보험료 계산을 4대보험 계산기를 통해서 해볼텐데요. 일단 국민연금 홈페이지 하단의 알아보기 내의 '4대보험 계산기'를 클릭해주시면 되신답니다. 4대보험 계산기는

국민연금계산, 건강보험료계산, 고용보험료계산, 산재보험료 계산을 하실수 있답니다.

 

 

고용보험료 계산 챕터를 보시면 근로자 수 선택, 신고소득월액 등을 선택해서 입력하시면 자동계산이 되는데요. 위에서 살짝 본 내용처럼 고용보험요율이 0.65%로 동일하게 적용이 되고,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사업 비용은 사업주만 적용해서 부담한답니다.

 

 

 

저는 150인 미만, 신고소득월액이 1,500,000원으로 계산을 해봤는데요. 근로자는 9,750원을 사용자(사업주)부담액은 13,500원이 고용보험료로 나왔네요. 10인 미만 사업주시라면 두리누리 사회보험도 신청하셔서 꼭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까지 고용보험료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