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몸무게 계산기 허리둘레 정상범위 <안내>
다이어트 할 때는 몸무게를 잘 재지 않는데요.
시작전에는 잘 체크해두었다가 다이어트
끝나면 비교를 해보는데요. 우리나라
여성들 사이에서는 미용 몸무게라는 게
따로 있어서 옷을 입었을때 예뻐 보이는 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체질량 지수라고도 해요.
이 체질량 지수보다 중요한 것은 허리둘레라고 하네요. 뱃살은 몸 속으로 녹아들기 쉬워서 인슐린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오늘은 표준몸무게 계산기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네이버 검색에서 비만도 계산을 입력하시고 조회를 하시면 비만도 계산기가 뜨는데요. 성별과 신장, 체중, 나이를 직접 입력하신 후 계산을 누르시면 비만도가 계산됩니다.
표준체중을 구하는 공식
· 표준체중(남성) = 키(m)×키(m) × 22
· 표준체중(여성) = 키(m)×키(m) × 21
160cm인 여성의 표준몸무게는 1.6 (m) X 1.6(m) X 21 = 53.76kg으로 계산이 됩니다. 이 공식이 소수점 까지 정확하게 계산이 되는거 같아요.
네이버 계산기는 일반계산, 공학계산, 퍼센트계산, 학점계산, 퇴직금계산, 비만도계산(표준몸무게 계산기)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남자 신장 168cm 체중 59kg 나이 29세로 계산을 해보았는데요.
신체질량지수가 정상으로 나왔네요. BMI는 18.5~22.9 는 정상체중, 23이상 과체중, 25이상 비만, 30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됩니다.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이외에 자주 사용하는 곳 하나가 사이즈 코리아라는 곳인데요.
사이즈코리아 메인 홈페이지 하단에 보시면 [나의체형 알아보기]가 있어요. 클릭하셔서 들어가시면 표준몸무게 계산기를 이용해서 정상체중과 BMI지수를 알수가 있어요.
사이즈코리아에서는 제 이름이 알고싶은가봐요. 이름, 성별, 연령 선택, 키, 몸무게를 입력하신 후 나의 체형 알아보기를 누르시면 결과가 나옵니다.
이름은 뭐~아무거나 입력하셔도 되요~저는 갑자기 초등학교 선생님 이름을 좀 빌렸어요.
비만도는 정상으로 나왔네요. 체질량 지수보다 중요한 뱃살, 다이어트 시에 가장 늦게 빠지는 곳이 뱃살인데요. 각종 성인병의 원흉이 된다고 해요. 무섭네요. 키와 몸무게에 상관없이 남성의 경우에는 90cm(36인치), 여성의 경우에는 80cm(30인치)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본다고 해요.
허리둘레는 정확하게 재야겠죠. 발을 25~30cm정도 벌리고 힘을 빼고 팔을 벌린 상태에서 맨 아래쪽 갈비뼈와 중간쯤, 배꼽 위의 둘레를 재도록 해야해요. 지금까지 표준몸무게 계산기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