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복비 계산 방법 알아보자!

Posted by 에디슨's
2016. 5. 2. 17:50 재테크정보/부동산정보

부동산 복비 계산 방법 알아보자!

 

 

대부분의 부동산 거래 시 아파트, 상가, 건물, 토지 등을 매매하기 위해서는 중개를 받아서 매매를 하게 되며 부동산 매입자는 중개업자에게 중개에 대한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답니다. 갑작스럽게 집을 매매하거나, 임대를 하게 될 경우에 부동산에서 항상 달라는 대로 주곤 했는데요. 이번에 임대를 하면서 부동산 복비 계산을 알아보았어요. 복비 계산을 해보시고 부동산 복비 현금영수증 부동산에 꼭 발급해달라고 하세요. 주택의 경우에는 지역에 따라서 부동산 중개 수수료가 조금씩 차이가 난답니다. 


 

법적 수수료에 맞춰서 현명한 거래를 하시길 바랄게요. 그럼 부동산 복비를 어떻게 계산 하는지 알아볼게요.

포털에 부동산 복비 계산이라고만 치시면 네이버에 아래와 같은 계산기가 뜨는데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 수수료율과 계산 방법을 같이 알아보도록 할게요. 

 

 

부동산 복비 계산기는 두 가지로 네이버 계산기와 부동산 114 메인화면의 우측 하단의 퀵 메뉴에 보시면 부동산 계산기가 있으신데요. 두 가지를 활용하심 되세요.~

 

주택 부동산 복비는 계산이 지역에 따라서 요율이 약간씩 다르게 적용이 되어 있어요.

 

주거용 오피스텔은 전국 상한요율이 매매는 0.5%, 임대차는 0.4%로 똑 같이 적용된답니다.

 

그 외 부동산 상가 등을 매매 임대 교환 할 경우에는 0.9% 이내에서 중개업자와 협의하여 지급하면 되는데요. 법적 수수료를 넘게 지급을 요구하거나 할 때는 적절한 대응을 하셔서 0.9% 이내로 조정을 하셔야 합니다.

 

 

보증금을 낀 월세의 경우에는 부동산 복비를 어떻게 계산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5천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월세 보증금 + (월단위 차입액*100) 을 하시면 되세요. 보증금 15백만 원에 월세 45만 원일 경우에 산정된 총 거래금액은 6천만 원으로 주택의 경우 0.4%를 적용한 금액이 아래와 같아요.

 

보증금 15백만 원에 임대료 월 45만 원의 물건에 대한 수수료는 상한 요율이 0.4%로 부동산 복비는 24만 원으로 계산이 되네요. 부동산 거래 시 과다한 중개 수수료를 요구할 시에는 시, 군, 구청의 해당 부서에 고발을 하겠다고 하시면 더 이상 요구를 하지 않습니다. 고발 조치가 들어가면 영업정지 6개월이면 중개업을 유지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법정 수수료를 받을 수밖에 없어요. 부동산 복비 계산 먼저 해보시고 자신 있게 부동산 거래 하시길 바랄게요. 이상 부동산 복비 계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