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대보험료 계산기, 4대보험 요율[안내]
2016년 4대 보험료가 조금씩 변동이 되었는데요. 사회보험제도는 사회적 위험을 예상하고 대비함으로써 경제생활을 보장하려는 일종의 소득 보장제도인데요. 우리나라의 4대 사회보험제도는 업무상의 재해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 질병과 부상에 대한 건강보험 또는 질병보험, 폐질. 사명. 노령 등에 대한 연금보험, 실업에 대한 고용보험제도가 있는데요. 근로자는 매월 급여에서 자동으로 계산되어서 나가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지 않기도 하는데요.
4대보험료 계산기를 이용해서 나의 사회보험이 적정하게 나가고 있는지 계산해보세요.
4대보험료 계산기를 찾아가 볼까요? 포털에서 국민연금공단 사이트로 접속을 해주심 되세요.
국민연금 메인화면 맨 하단에 보시면 알아보기가 있는데요.
거기에서 4대보험료 계산기가 보이시죠? 클릭을 하시면 아래 화면과 같이 4대보험을 계산할수 있답니다.
연금보험료 계산을 먼저 살펴볼게요. 국민연금계산은 신고소득월액의 총 9%를 납부하게 되는데요. 근로자 부담금 4.5% 와 사용자 부담금이 4.5%로 정해져 있어요.
국민연금법에 의해서 소득활동을 하면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어요. 자영업자 같은 경우에는 은행 대출 시에 국민연금 완납 증명서를 제출 하라고도 한답니다.
국민연금계산을 한번 해볼게요. 신고소득월액을 월 2백만 원으로 가정했을때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 9만 원씩 부담을 하구요.
지역가입자, 임의 가입자는 본인이 소득월액의 9% 전액을 부담하게 된답니다.
고용보험은 예전에 말하던 실업보험사업을 포함해서 고용안정사업과 직업능력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회보장 보험인데요.
회사의 근로자 수에 비례해서 사업자가 부담하는 비용은 변동이 되구요. 소득월액이 2백만 원이고 근로자 수가 150인 미만이라면 총액 31,000원의 0.65%에 해당되는 금액인 13,000원 부담하게 된답니다.
건강보험료계산은 국민건강보험료 중 건강보험료는 보험료율이 신고소득월액의 6.12%로 근로자와 고용주가 3.06%씩 부담을 하시구요.
장기 요양 보험료는 건강보험료 부담금의 6.55%를 50%씩 부담하시면 된답니다.
산재 보험료는 보험료율이 사업 세목에 따라서 변동이 되는 과목이라서 사이트를 통해서 상세하게 알아보시는게 좋으실 거 같아요.
산재보험료 [알아보기 ] 지금까지 4대보험료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 방법 안내 (0) | 2016.09.19 |
---|---|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총정리] (0) | 2016.09.19 |
제부도 물때시간표 6월, 2016 월별로 알아보자 (0) | 2016.06.23 |
연금복권 실수령액, 연금복권 세금 [안내] (0) | 2016.06.20 |
이마트 트레이더스 영업시간, 휴무일 지점별 정리 (0) | 2016.06.18 |